헬스 > 연구이야기 일측성 시옷봉합 조기유합증 사경 교정의 두개골 신연술 효과 2025.07.08

 

서울아산병원 신경외과 변유경 교수는 지난 5월 열린 제37차 대한소아청소년신경외과학회 정기학술대회에서 ‘일측성 시옷봉합 유합증 환자에서 신연골형성술의 사경 교정 효과’를 주제로 우수연제상을 수상했다. 이번 연구는 일측성 시옷봉합 조기유합증 환자에서 동반되는 사경의 교정에 두개골 신연술이 효과적임을 입증하고 향후 환자 맞춤형 치료법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Q. 연구의 배경은? 
A. ‘일측성 시옷봉합 조기유합증’은 영아의 두개골 중 시옷 모양의 봉합선이 한쪽만 조기에 닫히는 질환으로 전체 두개 조기유합증 환자의 약 1~5%에서만 나타나는 드문 형태다. 두개골 봉합선 중 한쪽이 정상보다 일찍 닫히면 귀 뒤쪽 뼈인 유양돌기의 돌출과 반대편 정수리 부분의 두정골 돌출이 동반된 비대칭 변형을 보인다. 이로 인해 두개저가 비뚤어져 머리가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사경이 발생할 수 있다. 


두개 조기유합증의 수술적 치료법에는 내시경 봉합절제술 및 헬멧 요법, 두개골 신연술, 두개 성형술 등이 있다. 이 중 두개골 신연술은 뼈를 서서히 늘려 뼈와 연부조직을 동시에 확장하고 머리모양과 두개저의 기울어진 축을 동시에 교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수술적 치료들이 조기유합증으로 인한 사경을 교정하는 데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된 바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내시경 봉합절제술과 두개골 신연술을 받은 환자들의 수술 전후 사경 교정 정도를 비교해 향후 개선된 치료 전략을 수립하는 데 기여하고자 했다.

 

 

Q. 연구에 대해 설명하면?
A. 1999년부터 2024년까지 우리 병원에서 일측성 시옷봉합 조기유합증으로 내시경 봉합절제술과 두개골 신연술을 받은 환자 중 최소 1년 이상 경과 추적이 가능한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두개골 모양의 전반적 비율과 좌우 비대칭 정도, 사경의 각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해 수술 전후를 비교했다. 


그 결과 전체적인 두상 비율과 위에서 본 좌우 비대칭 정도는 두 수술 모두 비슷한 개선도를 보였다. 하지만 정면에서 본 좌우 비대칭과 사경 각도는 두개골 신연술을 받은 그룹에서 더 뚜렷한 호전을 보였다. 사경이 호전된 환자 비율도 두개골 신연술 그룹이 약 86%의 높은 호전율을 보여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결과를 나타냈다.

 

 

Q. 앞으로의 연구 계획은?
A. 두개 조기유합증은 다양한 수술적 접근이 가능한 질환으로, 우리 병원은 신경외과와 성형외과가 협진을 통해 환자 개개인의 상태에 맞는 최적의 수술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이번 연구로 두개골 신연술의 사경 교정 가능성을 확인했다. 향후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대규모 연구를 진행해 이 치료법의 정확성과 효과를 입증할 계획이다. 또한 환자의 연령과 변형 양상에 따른 맞춤형 치료 전략을 마련하는 데에도 연구의 초점을 맞춰 나갈 예정이다.

보다 건강한 콘텐츠 제작을 위해 이 콘텐츠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을 말씀해 주세요.

뒤로가기

서울아산병원 뉴스룸

개인정보처리방침 | 뉴스룸 운영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