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기후변화로 대기 중 오존 농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가운데, 오존이 장기이식 환자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연구 결과가 최근 발표됐다.
서울아산병원 신·췌장이식외과 김영훈 교수팀은 2002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 대학병원 3곳에서 신장이식을 받은 성인 4,796명을 대상으로 고해상도 머신러닝 기반 대기오염 예측 모델을 이용해 환자 거주지의 연평균 오존 농도와 미세먼지(PM 2.5) 농도를 산출했다. 이식 후 1년 이상 생존한 환자를 대상으로 장기 추적 관찰을 진행한 결과, 연평균 오존 농도가 5ppb 증가할 때 모든 원인 사망 위험이 약 65%, 이식받은 신장(이식신)의 기능상실 위험이 약 60%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오존 농도가 약 35ppb를 넘으면 위험도가 크게 증가했고 40ppb 이상에서는 사망 위험의 증가폭이 더욱 커졌다.
김영훈 교수는 “이번 연구는 장기적인 오존 노출이 장기이식 환자의 생존율과 이식신의 기능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세계 최초로 입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장기이식 분야 국제학술지 「미국이식학회지」 최신호에 게재됐다.
관련 의료진
연관 콘텐츠